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은행 및 금융 시장의 경제학 챕터2의 금융 시스템의 개요를 이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금융 시장의 구조
금융 시장의 기본 기능을 이해했으니 이제 그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금융 시장은 크게 부채 시장과 주식 시장으로 나뉩니다.
부채 시장
부채 시장은 기업이나 개인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이나 모기지와 같은 채무 상품을 발행하는 시장입니다. 채무 상품은 차용자가 최종 지급이 이루어지는 지정된 날짜(만기일)까지 일정한 간격(이자 및 원금 지급)으로 고정된 달러 금액을 상품 보유자에게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상의 합의입니다. 채무 상품의 만기는 해당 상품의 만기일까지의 기간(기간)을 의미합니다. 만기가 1년 미만이면 단기 채무 상품이고 만기가 10년 이상이면 장기 채무 상품입니다. 만기가 1년에서 10년 사이인 채무 상품을 중기채권이라고 합니다.
주식 시장
주식 시장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시장입니다. 주식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권입니다. 주식을 매입하면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게 되며, 기업의 이익에 따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미국 주식의 총 가치는 1990년대 초부터 주식 가격에 따라 일반적으로 4조 달러에서 20조 달러 사이에서 변동해 왔습니다. 일반인들은 주식 시장에 대해 다른 어떤 금융 시장보다 더 잘 알고 있지만, 부채 시장의 규모는 주식 시장의 규모보다 훨씬 큰 경우가 많습니다: 2010년 말 부채 상품의 가치는 43조 달러인 반면, 주식의 가치는 17조 2천억 달러였습니다.
두 시장의 구조는 매우 다르지만, 둘 다 자금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채 시장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식 시장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1차 시장과 2차 시장
1차 시장은 기업이나 정부 기관이 채권이나 주식과 같은 유가증권을 신규 발행하여 초기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금융 시장입니다. 2차 시장은 이전에 발행된 증권을 재판매할 수 있는 금융 시장입니다.
1차 시장은 초기 구매자에게 증권을 판매하는 것이 종종 비공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1차 시장에서 증권의 초기 판매를 지원하는 중요한 금융 기관은 투자 은행입니다. 투자은행은 증권 인수를 통해 이를 수행합니다. 즉, 투자 은행은 기업의 증권에 대한 가격을 보장한 다음 일반인에게 판매합니다.
이전에 발행된 주식이 거래되는 뉴욕증권거래소와 NASDAQ이 2차 시장의 가장 잘 알려진 예이지만, 실제로는 주요 기업과 미국 정부의 채권을 사고 파는 채권 시장이 더 큰 거래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2차 시장의 다른 예로는 외환 시장, 선물 시장, 옵션 시장이 있습니다. 증권 브로커와 딜러는 2차 시장이 잘 작동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브로커는 구매자와 증권 판매자를 연결해주는 투자자의 대리인이며, 딜러는 정해진 가격에 증권을 사고팔아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합니다.
개인이 2차 시장에서 증권을 매수하면 증권을 매도한 사람은 증권 대가로 돈을 받지만 증권을 발행한 법인은 새로운 자금을 취득하지 않습니다. 법인은 유가증권이 1차 시장에서 처음 판매될 때만 신규 자금을 확보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시장은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첫째, 금융상품을 더 쉽고 빠르게 판매하여 현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금융상품의 유동성을 높입니다. 유동성이 증가하면 금융상품의 선호도가 높아져 발행 기업이 1차 시장에서 판매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둘째, 발행 기업이 1차 시장에서 판매하는 증권의 가격을 결정합니다. 1차 시장에서 증권을 구매하는 투자자는 2차 시장에서 이 증권에 대해 설정할 것으로 생각되는 가격 이상을 발행 회사에 지불하지 않습니다. 2차 시장에서 증권 가격이 높을수록 발행 기업이 2차 시장에서 새로운 증권을 발행할 때 받을 수 있는 가격도 높아지므로 조달할 수 있는 금융 자본의 양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2차 시장의 조건은 증권을 발행하는 기업과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금융 시장을 다루는 이 책과 같은 책은 1차 시장보다는 2차 시장의 행동에 중점을 둡니다.
거래소 및 장외 시장
유통시장은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방법은 증권 매수자와 매도자(또는 그들의 대리인 또는 중개인)가 한 중앙 장소에서 만나 거래를 진행하는 거래소를 조직하는 것입니다. 주식의 경우 뉴욕증권거래소, 원자재(밀, 옥수수, 은, 기타 원자재)의 경우 시카고상품거래소가 조직화된 거래소의 예입니다.
유통시장을 조직하는 또 다른 방법은 증권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여러 지역의 딜러가 "장외"에 나와서 가격을 수락할 의사가 있는 모든 사람에게 증권을 매매할 준비가 되어 있는 장외(OTC) 시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장외 딜러는 컴퓨터를 통해 연락하고 서로가 정한 가격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장외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조직화된 거래소가 있는 시장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대기업은 조직화된 증권 거래소에서 주식을 거래하지만 많은 일반 주식이 장외에서 거래됩니다. 반면, 뉴욕증권거래소보다 거래량이 더 많은 미국 국채 시장은 장외 시장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40여 개의 딜러가 미국 국채를 사고 팔기 위해 대기함으로써 이러한 증권의 "시장"을 형성합니다. 다른 장외 시장에는 협상 가능한 양도성 예금증서, 연방 기금 및 외환과 같은 다른 유형의 금융 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이 포함됩니다.
머니 마켓과 자본 시장
시장을 구분하는 또 다른 방법은 각 시장에서 거래되는 유가증권의 만기를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머니 마켓은 단기 채무 상품(일반적으로 만기가 1년 미만인 상품)만 거래되는 금융 시장입니다.자본 시장은 장기 채무 상품(일반적으로 만기가 1년 이상인 상품)과 주식 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머니 마켓 증권은 일반적으로 장기 증권보다 더 널리 거래되므로 유동성이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4장에서 살펴보겠지만 단기 증권은 장기 증권보다 가격 변동폭이 작아 더 안전한 투자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기업과 은행은 일시적으로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잉여 자금에 대한 이자를 얻기 위해 머니 마켓을 적극적으로 이용합니다.
주식 및 장기 채권과 같은 자본 시장 증권은 보험 회사 및 연기금과 같은 금융 중개자가 보유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은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의 양에 대한 불확실성이 거의 없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금융시스템의 개요를 이어서 작성하였습니다. 번역투여서 양해부탁드립니다. 다음 포스팅은 이어서 Financial market instruments를 포스팅하겠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데릭 미시킨 화폐, 은행 및 금융 시장의 경제학-2. 금융 시스템의 개요[3편] (0) | 2023.06.25 |
---|---|
프레데릭 미시킨 화폐, 은행 및 금융 시장의 경제학-2. 금융 시스템의 개요[1편] (0) | 2023.06.24 |